해양과학도서관


공지사항

home

전문학술지 발간


 

전문학술지 발간
 

 

 

OSJ! 한여름 무더위만큼이나 치열한 1+1+1 운동 전개

 


벌써 1 년 , 새로운 비전 !

지난해 6 월 18 일 OSJ 는 그간의 발간 성과를 집약시킨 보고서 한편을 완성하였습니다 . 이 보고서는 바로 OSJ 의 SCI 등재 신청서와 함께 Thomson Reuters 사로 보내졌습니다 . 네 , 그것이 바로 SCI 에 등재되기 위한 OSJ첫걸음이었습니다 .

그로부터 1 년 !

OSJ 는 SCI 의 평가를 받으며 치열한 사계절을 보냈습니다 . 그동안 OSJ특별호를 2 편 발간하였고, 피인용과 Impact Factor 에서도 비약적인 성장을 이루는 등 , 지금순간에도 국제학술지로 발전하기 위한 과정들을 묵묵히 밟아가고 있습니다 .

그런데 SCI 등재 여부는 언제쯤 알게 될까요 ? Thomson Reuters 사가 결정과 함께 소식을 전해주는 순간입니다 . 모든 심사가 그렇듯이 등재 결정소식을 빨리 알게 되면 더할 나위 없이 좋을 것입니다 .

하지만 지난 1 년 , OSJ 는 새로운 비전을 갖게 되었습니다 . 그것은 해양 분야에서 아시아를 대표하는 국제학술지로 성장하자는 것입니다 . 등재 여부와 상관없이 OSJ 는 발전을 멈추지 않는 최고 학술지의 필요충분조건을 갖추기 위하여 끊임없는 노력을 다할 것입니다 . OSJ 의 비전을 만들고 그것을 키워주신 것은 바로 해양연구자분들의 협조와 격려 덕분이었습니다 .

 

한국영화의 힘과 ‘1+1+1’

OSJ 가 SCI 등재 신청을 한 후 , 가장 중점적으로 노력하고 있는 부분이 우수논문 유치와 Impact Factor 향상입니다 . 이는 SCI 등재를 실현시키기 위한 필수 요소이기도 하지만 , 실제적으로 학술지의 질적 수준을 판단할 수 있는 정량적인 지표이기 때문입니다 . 이 외에도 논문의 다운로드 수는 학술지의 국제적인 가시성을 판단하는 지표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 이를 위해 OSJ지난 3 월부터 OSJ 의 ‘1+1+1 운동 ‘ 을 시행해 왔던 것입니다 .

그거 억지로 한다고 되나 ?’ ‘ 우수한 학술지라면 굳이 인용을 권장하고 , 논문 다운로드 받지 말라고 해도 받지 않나 ?’ 이러한 의문을 품은 해양학자도 계셨을 것입니다 . 하지만 ‘ 노력 없이 저절로 ’ 이루어지는 성과란 없습니다 . 한국 영화가 헐리웃 영화에 대하여 경쟁력을 갖기까지 , 우리 영화에 대한 관객들의 지지가 가장힘이 되었듯이 , 우리 저널에 대한 관심과 지지만이 특정 연구주제 분야에 존재하는 세계의 수많은 우수저널의 틈바구니 속에서 우리 저널이 경쟁할 수 있는 무대를 만들어줄 것입니다 . 그동안 해양연구자 여러분의 적극적인 협조를 부탁드렸던 것도 바로 그 동등한 무대에 서기 위한 OSJ노력이었습니다 .

OSJ 1+1+1 운동 !

연구자 여러분께서 연 1 회 OSJ 로 우수한 논문을 투고해주시고 , SCI 논문에 OSJ 1 회 인용해주시고 , 하루 1 회 OSJ 홈페이지에 접속하시어 논문을 다운로드 해 주시면 , OSJ국제적인 가시성 , 인지도가 제고되고 우리가 목표로 하는 SCI 등재에 한걸음 다가갈 수 있을 것입니다 .

OSJ 편집위원회는 여러분의 도움과 협조를 진심으로 감사히 여기고 있습니다 . 지금이라도 OSJ 의 ‘1+1+1’ 운동에 동참해 주십시오 ! 여러분의 힘이필요합니다 !


◆Ocean Science Journal 제 48 권 2 호 발간('13.6.30)

Ocean Science Journal 이 2013 년 두 번째 이슈를 발간하였습니다 . 이번호에는 Article 8 편과 Note 1 편으로 총 9 편이 게재되었습니다 .

 

해양연구자 여러분의 이해를 돕기 위해 , 이번호에 수록된 주요 논문에 대한 해당 편집위원의 간략한 소개 글을 전해 드립니다 .


































































 

★  OSJ 논문 다운로드 방법 안내

OSJ 전자저널 홈페이지 접속 ( http://link.springer.com/journal/12601)
화면 중앙 파란색 박스에서 권호 입력 또는 브라우징 클릭
③ Download PDF 클릭!

   * 문의 : OSJ 편집간사 권성국 ( osj@kiost.ac skkwon@kiost.ac / 031-400-6461)




◆2013 Ocean and Polar Research 우수논문상 선정 발표

Ocean and Polar Research 편집위원회에서는 학술지의 질적 수준을 향상시키고 우수논문을 지속적으로 확보하고자 우수논문상을 시상하였습니다.

2012 년1 년간 Ocean and Polar Research 에 게재된 논문 39 편 중, 2 편의 우수논문을 선정하였으며, KIOST 1 주년 기념식에서 상패와 편당1,000,000 원의 상금을 수여하였습니다.

 

논문제목

저자 (소속)

남해와 동중국해에서 위성으로 추정된 표층수온클로로필의 장기 변화

손영백  (KIOST 해양생태계연구부)
유주형  (KIOST 해양위성센터)
노재훈  (KIOST 해양생태계연구부)
주세종  (KIOST 심해저자원연구부)
김상현  (한성대학교 기계시스템공학과)

기후변화로 인한 신지도 근해 해양먹이망 변동 예측

강윤호  (전남대학교 해양기술학부)
주세종  (KIOST 심해저자원연구부)
박영규  (KIOST
해양순환기후연구부)

 

◆Ocean and Polar Research 제35 권 2 호 발간('13.6.30 )

Ocean and Polar Research 제35 권 2 호가 발간되었습니다. 이번 호에는 논문 7 편, 종설2 편, 단보1 편이 게재되었습니다 .
게재된 논문은OPR 홈페이지( http://opr.kiost.ac ) 의 “Current Issue ” 또는KIOST 홈페이지> 정보바다> 학술지( http://www.kiost.ac/kordi_web/?sub_num=112 ) 에서PDF 형태의Full Text 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현재 한국연구재단 등재지로써Elsevier세계적인 서지DB SCOPUS 를 비롯한 유명 서지정보database등재되어 있는 OPR해양과학분야를 대표하는 전문적인 학술지입니다. 특히2013 년6 월부터는 국내 해양학 분야 학술지 중 최초 전세계 최대의 국제공개출판(Open Access) 저널DB 인DOAJ(Directory of Open Access Journal) 에 등재 되었습니다. 앞으로Ocean and Polar Research 가 더욱 우수한 학술지로 발전할 수 있도록 많은 관심과 격려를 부탁 드립니다.

★ Ocean and Polar Research  제35 권 2 호 수록논문

No

구분

논문명

저 자

(제1저자 소속)

페이지

1

논문

시화호 코어 퇴적물 내 미량금속 분포 특성오염 평가

나공태, 김은수, 김종근, 김경태, 이정무, 김의열
(한국해양과학기술원)

69-83

2

논문

무기영양염 농도와 수온 상승이 산호 갈색공생조류의 밀도에 미치는 영향

김태훈, 박흥식
(한국해양과학기술원)

85-92

3

논문

국내외 해양생명공학 산업시장의 장기예측함의

장덕희, 강길모, 채기영, 김수지, 조민주, 차정미, 함현경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정책연구소)

93-105

4

종설

해양 글라이더에 관하여: 한국 근해에서의 적용 가능성

박종진
(
경북대학교)

107-121

★ Ocean and Polar Research  특별호 (  기후변화가 남해 해양생태계에 미치는 영향평가 II)  수록논문

No

구분

논문명

저 자

(제1저자 소속)

페이지

1

Guest

Editorial

기후변화가 남해(북부 동중국해 포함) 해양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평가 시범 연구II

주세종, 김세주
(한국해양과학기술원)

123-125

2

논문

기후모델에 나타난 미래기후에서 쓰시마 난류의 변화와 그 영향

최아라, 박영규, 최희진
(한국해양과학기술원)

127-134

3

논문

고해상도 해양예보모형HYCOM 재현된 쓰시마난류

서성봉, 박영규, 박재훈, 이호진, N. Hirose
(한국해양과학기술원)

135-146

4

논문

위성 해색자료에서 추정한 동중국해 클로로필 선형경향의 계절별 차이 연구

손영백, 장찬주, 김상현
(한국해양과학기술원)

147-155

5

논문

남해동부해역의 표층 수괴 변화에 따른 환경요인과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계절적 변화

장풍국, 현봉길, 차형곤, 정한식, 장민철, 신경순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남해연구소)

157-170

6

종설

동중국해 표층수온의 장기 변동성: 종설

이재학, 김철호
(한국해양과학기술원)

171-179

7

단보

제주근해에 출현하는 현생 부유성 유공충 종과 계절변화

현상민, 木元克典, 조성환
(
한국해양과학기술원)

181-191

* 투고 문의: OPR 편집간사 임보람( opr@kiost.ac , boram@kiost.ac / 031-400-6464)

조OO 2013.07.30 13:44: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