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관 통합검색VS Google Scholar
3월, 새로 연 도서관 시스템의 가장 큰 장점 논문 단위 통합 정보검색(디스커버리) 시스템!
(※ 도서관 통합검색 시스템 바로가기 : http://library.kiost.ac )
사람들은 묻습니다.
“그래서 도서관 통합검색이Google Scholar보다 좋은 점이 뭐죠?”
이제부터 도서관이 대답합니다.
-
도서관 통합검색의 좋은 점, 하나하나 챙기세요~
정확하고 빠른 검색
- 소장자료+ 전자자원 통합 검색
Google Scholar의 검색 대상은 전 세계의 전자자원입니다. 그야말로World Wide Web~ 하지만 많은 것이 곧 좋다는 것은 아니죠. 도서관 통합검색은 전자자원은 물론 범위를 줄여 소장자료까지 함께 검색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찾아주는 것은 물론 지금 당장 이용할 수 있는 정보까지 안내해줍니다.
찾고자 하는 주제에 대한 논문(Article)과 프로시딩(Proceedings) 뿐만 아니라, 해양과학도서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단행본을 한 번에 찾아볼 수 있는 도서관 통합검색, 여러분을 위해 준비한 시스템입니다.
<그림1> 논문과 단행본을 함께 검색할 수 있는 도서관 통합검색 시스템

2. 키워드가 유효슈팅이 되는 시스템
- 검색결과 제한(Refine) 가능
축구경기에서 한 골이 아쉬운 후반40분0:0 상황. 골을 만들려면 어쨌든 슛을 날려야 합니다. 유효슈팅이 많은 팀이 골을 만들 가능성이 크죠. 우리의 검색도 비슷합니다. 정확한 논문 명을 모를 때, 우리도 골대를 향해 슈팅을 해봅니다. 바로 키워드 검색. 그런데 이 키워드 검색이 골에 가까운 유효슈팅이라면 얼마나 좋을까요? 네, 도서관 통합검색 시스템은 키워드 하나로 유효슈팅을 만들어드립니다.
도서관 통합검색과Google Scholar에서 “Climate Change”라는 키워드 검색을 해보겠습니다.
<그림2> 도서관 통합검색 결과 화면

바로 원하는 자료가 올라갈 수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 유효슈팅은 왼쪽 메뉴에 있습니다. 주제와 수록DB, 발행년 등 다양한 방법으로 검색결과를 재정렬(Refine) 할 수 있죠. 특히, Nature Publishing Group의 저널 수록논문만 한정할 수도 있고, 미국국립의학도서관의MEDLINE 등재저널 논문에서만 검색할 수도 있습니다. 보다 신뢰도 높은 참고자료를 확보하는 데 큰 도움이 되겠죠?
그렇다면, Google Scholar는 어떨까요?
<그림3> Google Scholar 검색 결과 화면

-
익숙한 화면, Google Scholar입니다. 출판연도와 같은 기본적인 부분 외에는 검색결과 재정렬(Refine) 기능을 제공하지 않다는 것이 보이실 것입니다. 골까지 몇 번의 클릭이 남아있을까요? 확실한 것은 도서관 통합시스템 보다 몇 배는 더 많이 클릭하셔야 한다는 것입니다.
밀당이 싫은 당신을 위해~
-원문접근 가능 자원만 검색하기
“PDF 원문에 접근이 가능한 자원만 한정하여 검색하기”
도서관 통합검색에서는 되지만Google Scholar에서는 되지 않는 또 하나의 기능입니다.
Google Scholar를 보다 보면 가끔 체감온도를 높이는 한 마디를 만나게 될 것입니다.
‘이 논문의PDF 원문을 보려면OOO 달러를 결제하거나 유료 멤버십 회원에 가입해야 합니다’ 유료나 결제라는 단어에 민감할 때, 도서관 통합 검색을 이용하세요.
검색범위를 해양과학도서관에서 구독하고 있는 전자자원으로 한정하면 클릭 한번으로 원문을 볼 수 있습니다. 물론, “구독하지 않는 자원 포함” 체크 해제를 하시면 검색 범위 확장도 가능합니다.
<그림4> 도서관 통합검색에서 검색범위를 확장하기
-
친절한 해결사 도서관 씨를 불러주세요~
미구독자원 원문복사 신청
내가 찾는 논문이 “구독하지 않는 자원 포함” 체크에서 검색되었다고요?
걱정하지 마세요. “원문복사 신청”만 하시면 도서관에서 알아서 PDF 원문에 접근해드립니다.
도서관 통합검색이라면 논문명이나 저널명을 일일이 입력하지 않아도 클릭 한 번으로 원문복사 신청을 할 수 있답니다! 물론Google Scholar에서는 있을 수 없는 일이죠~
<그림5> 도서관 통합검색 결과에서 바로 원문복사 신청하기


5. 그 외 부가 기능: SCI/E 등재 여부 및JCR Impact Factor 확인 등
이외에도 검색된 논문이 수록 저널의SCI/E 등재 여부를 확인하거나, JCR Impact Factor를 확인하는 것과 같은 부가 기능 역시 도서관 통합검색에서만 가능하답니다~
<그림6> 도서관 통합검색에서SCI/E 등재 및JCR Impact Factor 확인하기

우리 과기원 연구자를 최우선으로 생각한 도서관 통합검색 시스템. Google Scholar에 비해 좋은 점이 많죠? 앞으로도 많은 활용 바랍니다!
* 통합검색 관련 문의: 해양과학도서관 임보람(031-400-6464 / boram@kiost.ac)
|